728x90
728x90
반응형
12. 백엔드, Spring Framework(+JSP)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백엔드 개발이 시작되었다. Spring 프로젝트 생성, 내장 Tomcat설정, maven/gradle 저장소 사용법부터 Spring 프로젝트의 구조, 작동원리, 순서, 디자인패턴등을 학습했다.Java를 잘한다 != Spring을 잘한다임을 알았기에, 이때부터는 학습에 조금 집중하기 시작했다.API를 몇번 반복적으로 작성하다보니 감이 잡혔고 곧 잘 따라왔지만, 다른 교육생들이 이때부터 많이 뒤쳐지기 시작했다. 이 당시 다른 교육생들이 질문하는 요지에 대해 좀 파악해두기 시작했다.기본 문법을 틀리는 듯, 너무 기본적인 부분에서의 실수를 못찾거나 오류메세지를 못 읽는 경우, 파이널 프로젝트에서 참고하려했기 때문이다.이를 아래와 같이 ..
(1)에서 설명하지 못했지만, 작성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OOO로 대체하여 작성하겠다. 5. 교육 시작, Java 필자는 학교에서나 프로젝트에서 Java나 C#을 써왔다.Java자체는 정말 익숙하고 친근하다.지금도 가장 자신있는 언어를 Java라고 말할 수 있다. 첫 시작부터 10일정도는 본인이 1~2학년 시절로 돌아간 기분이였다.첫 날은 sdk설치 및 java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데 시간을 다 사용했다.그 이후 Hello world를 출력하고, 이클립스를 설치하고 별, 다이아몬드, 피라미드를 찍고, 접근제어자에 관한 문제를 풀고 있었다.이 때는 어차피 다 아는 내용이라 강의를 제대로 듣지 않고, 딴 짓을 하면서 내주는 과제마다 바로바로 끝내서 전달하는 식으로 참여했다. 강의 난이도는 이미 ..
1. 서론 본인은 23년 ?월부터 23년 ?월까지 KDT교육을 수강했다.6개월짜리 과정이였으며, 주제는 JAVA 풀스택 채용연계 과정이였다.이 과정은 100% 비대면(Zoom)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사나 매니저, 심지어 함께 프로젝트를 제작하는 팀원까지 오프라인에서 만나는 일은 전혀 없었다.(나중에 나올 이야기지만, 일부 팀원은 만난 경험이 있긴 하다. 집이 가깝거나, 면접 장소가 동일하다는 이유로 별도의 연락을 함) 과정은 멀티캠퍼스에서 진행했으며, 본인은 이 과정을 수강한 것에 대해 크게 후회하고 있다.이 카테고리에서 교육에 대한 커리큘럼과 진행 중 있었던 일, 느낀 감정 등 후기를 작성해보려한다.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글이 될 것 같다. 이 글이 국비교육을 받으려는 학생들에게 참고사항이 되길 바란다...
1. 서론 먼저 말하자면, 필자가 만들었다.디시를 포함한 각종 커뮤니티에서 똥글을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제작한 간단한 익스텐션이다.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community-explorer/fkkelkbmklbpcdchmbcmibofkcihpojc Community Explorer - Chrome 웹 스토어Explore all communitychromewebstore.google.com 2. 기능 및 사용법 똥글을 확인할 때, 해당 페이지에 관심 있는 글이 없다면 휠을 내리고 페이지이동버튼을 마우스로 눌러줘야 한다.이 페이지이동을 키보드로 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다만 몇 페이지인지에 관한 정보를 쿼리파라미터로 전달하는 방식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디시를..
1. 서론서울역 앞에 다양한 사람들이 있다.'OO당 당원모집, OOO에게 힘이 되어주세요' 푯말을 세워둔 그룹종교단체에서 천막을 쳐서 노숙자들 공간을 만들어둔 그룹쓰레기로 벽을 만들어 생활하는 노숙자들... 외국인들이 한국을 방문한다면, 잘 아는 사람을 제외하곤 공항철도를 타고 서울역에 한번 내린다.그 외국인들이 서울역 앞 광장의 모습을 볼 걸 생각하니, 필자가 다 부끄럽다. 그에 관련한 자료를 찾던 중, 홈리스 강제퇴거, 청소를 이유로 쫓아내는게 문제라는 주제로 2023년 작성된 기사를 발견하였다.이 기사를 읽고 느낀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한다. 2. 본론 기사링크 : https://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25816 서울역 앞 지하..
1. 서론 지방소멸, 인구이동에 관한 문제는 최근 생겨난 문제가 아니다.필자가 초등학생 시절 때도 학교수업에서 배웠던 주제이며, 잊을법하면 뉴스에서는 지방소멸에 관한 주제의 뉴스롤 내보낸다.그러면서 각 소멸위기 지방들에서 시행 중인 인구유입을 위한 정책을 소개하기도 하는데, 필자는 이런 정책이 필요한가? 라 생각한다. 긴 이야기 없이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자. 2. 지방소멸과 인구이동 이 글을 제대로 읽는 분이 얼마나 되실지는 모르겠다.만약 본인이 40대 이상이라면, 요즘 지방 거주 2~30대의 수도권 이동의 원인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서울이 발달되고 세련되서? 즐길거리가 많아서? 인프라차이가 심해서?일부 맞는 말이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일자리라고 생각한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경남 남해군에 거주중인 2..